김종구 대표가 부친 사업을 이어받은 2세 경영인인 만큼 큰 어려움이 없었을 것이라고 보는 시선이 있다. 사실이 아니다. 그는 공업진흥공사에 입사해 안정된 삶을 살 수도 있었지만 스스로 이를 포기하고 1980년대 스스로 사업에 먼저 뛰어들었다. 학습지 사업이었으나 실패했다. 집에선 쌀이 없어 밥을 지을 수 없을 정도로 나락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실력을 발판삼아 대기업인 LG산전에 입사해 반전의 기회를 마련했다. 김 대표는 “재형저축을 통해 목돈을 마련하고 부친 사업을 인수해 오늘날의 기업으로 키워냈다”고 말했다.
그는 부친이 강조해온 근면·검소·친절을 사훈으로 삼아 초심을 잃지 않고 업의 본질에 집중하고 있다. 빌딩 종합관리를 통해 운영 노하우를 쌓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를 길러내는 중이다. 관공서와 오피스, 병원, 연구소, 대학교, 관람시설 등을 전문성을 가지고 관리하며 입지도 탄탄히 다지고 있다. 태광실업뿐 아니라 아웃소싱 업계를 대변하는 기업인으로 우뚝 섰다.
하지만 그가 요즘 걱정하는 것은 태광실업 한 곳뿐이 아니다. 김 대표는 “전체 업계와 산업규모를 키워야 하는데 현실은 여러 장벽이 있는 것 같아 걱정이다”라며 현재 아웃소싱 업계가 처해있는 몇 가지 고민들과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먼저 정부의 비정규직 제로화 정책이다. “정부의 정책을 일부분 이해하지만 업계의 현실과 실정을 잘 모르는 상황”이라며 “정부에선 자꾸 정규직 전환을 말하는데 아웃소싱 분야는 전혀 실정에 맞지 않습니다. 선진국들은 오히려 아웃소싱을 권장하고 있는데 국내는 선진국들과 거꾸로 가는 정책입니다.”라고 전했다.
그는 아웃소싱 분야만큼은 정규직 전환을 예외조항으로 적용해야 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국내 2만여 아웃소싱 업체가 도산위기에 처할 수 있기에 현장 상황에 맞지 않는 일률적인 정책은 반발을 살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 밖에도 “도급계약의 문제점도 심각하게 고민을 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인사노무관리상 독립성이 인정받는 것이 바로 도급계약이지만, 정부 및 관급 입찰에서는 정산을 요구하는 사항이 많아 이는 정부 스스로 독립성을 해치는 자가당착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미래사회가 될수록 일자리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고 일자리와 가장 밀접한 우리 아웃소싱 산업에 대한 정부의 외면을 두고만 볼 수는 없습니다.”
그는 중소기업 혜택뿐 아니라 정부기관에서 해당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건물이 많아지고 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인력 고용의 여건은 무르익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 대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늘 생각하고 있어 어려운 이웃을 후원할 수 있는 방안도 꾸준히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라미아 호텔 등 새로운 사업과 관련해서도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새롭게 진출할 분야 또한 고민해 본다는 계획이다.